본문 바로가기
IT 개발 및 프로그래밍/프로그래밍 꿀팁

초보자를 위한 깃(Git) 명령어 완벽 정리

by 노마드데이터랩 2025. 3. 2.
반응형

 

서론

Git은 개발자들에게 가장 널리 사용되는 버전 관리 시스템입니다. 초보자에게 Git 명령어는 다소 복잡할 수 있지만, 자주 쓰이는 명령어 몇 가지를 익혀두면 쉽게 적응할 수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Git의 핵심 명령어를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였습니다.

Git 기초 명령어

1. Git 저장소 초기화

git init
  • 로컬 디렉터리를 Git 저장소로 초기화합니다.

2. 변경 사항 확인

git status
  • 현재 작업 디렉터리의 상태를 보여줍니다.

3. 변경 사항 저장

git add <파일명>
  • 특정 파일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합니다.
git add .
  • 현재 디렉터리의 모든 파일을 추가합니다.

4. 커밋(Commit)

git commit -m "커밋 메시지"
  • 스테이징된 변경 사항을 저장소에 커밋합니다.

5. 브랜치 관리

git branch
  • 현재 존재하는 모든 브랜치를 표시합니다.
git branch <브랜치 이름>
  • 새 브랜치를 생성합니다.
git checkout <브랜치 이름>
  • 지정한 브랜치로 전환합니다.

6. 원격 저장소 연결

git remote add origin <저장소 URL>
  • 원격 저장소를 추가합니다.

7. 변경 사항 푸시

git push origin <브랜치 이름>
  • 변경 사항을 원격 저장소에 푸시합니다.

8. 원격 저장소에서 가져오기

git pull origin <브랜치 이름>
  • 원격 저장소의 최신 변경 사항을 가져옵니다.

9. 변경 내역 확인

git log
  • 커밋 내역을 표시합니다.

10. 되돌리기

git revert <커밋 해시>
  • 특정 커밋을 되돌리는 새로운 커밋을 생성합니다.

Git 사용 팁

  • 커밋 메시지는 명확하고 간결하게 작성하세요.
  • 작은 단위로 자주 커밋하면 작업 관리가 쉬워집니다.
  • 주요 브랜치(main 또는 master)는 항상 안정적으로 관리하세요.

마치며

Git 명령어를 잘 익히면 협업뿐 아니라 개인 프로젝트 관리에서도 큰 도움이 됩니다. 꾸준한 연습을 통해 Git을 능숙하게 사용해 보세요!

반응형

댓글